개인 공부 기록용이라서 자세한 설명은 일부 생략이 되어있음을 양해 부탁드립니다.
■ 숫자
일단 파이썬 신기했다. C#과 C++과 다르게 데이터타입 선언을 안해준다. 저게 나중에는 더 헷갈리지 않을까 생각이드는데 확인하는 방법이 따로 있을테니 찾아봐야겠다.
a=1이라는 코드를 작성하면 a라는 변수에 1이라는 값이 들어간 것을 Print 함수를 사용한 출력을 통해 알 수 있다.
* 간단한 사용법 1 |
Enter를 치면 줄바꿈을 [Shift + Enter]를 하면 코드 실행을 한다. |
■ 문자열
▼ 작은 따옴표(')를 string 안에서 표현하고 싶으면 큰 따옴표(") 쌍 안에서 그냥 넣어주면 된다.
■ 배열
파이썬에서 동적배열은 여러가지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쓰이는 것은 리스트( '[', ']'로 구성)랑 튜플( '(', ')'로 구성)라고 한다.
▼ FirstList라는 리스트를 선언해줬고 원소는 0, 1, 2, 3, 4를 갖는다.
▼ len 이라는 함수는 시퀀스나 컬렉션의 크기를 표시해준다고한다.
문자열,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셋 등에 쓸 수 있다고 한다.
▼ 각 원소에 접근해서 합을 출력 해보기도 했다.
* 여기서 신기했던거는 음수(-)값으로 인덱스 접근이 가능하다고 한다... 와우
음수 값은 -1을 시작으로 맨 마지막 원소로부터 해당 숫자의 절댓값 순서를 뜻한다고한다.
예를들어 -1 이라면 배열 [0, 1, 2, 3, 4] 중에서 -1의 절대값인 1. 즉, 첫번째인 '4'를 뜻한다.
▼ append 라는 함수가 지원이 된다. 원소를 마지막 인덱스에 추가해주는 함수다.
▼ pop 이라는 함수도 지원이 된다. 마지막 인덱스 원소를 제거 및 반환 해주는 함수다.
lastElemnet 라는 변수를 새로 생성해주고 값을 simpleArray.pop() 함수의 반환 값을 넣어
마지막 인덱스의 값이 5라는 것을 print를 통해 확인했다.
pop 이후에 SimpleArray를 출력해보니 pop으로 제거한 '5' 값이 없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배열 두 개를 + 해서 합칠 수 있다.
첫 번째 배열 + 두 번째 배열을 출력하면 첫 번째 배열의 마지막 인덱스 이후 두 번째 배열의 첫번째 인덱스를 시작으로 원소들을 차례대로 출력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궁금한 점
정적 배열인 Array는 없는가?
* 더 찾아보니 정적 배열인 Array는 모듈을 임포트 후 사용할 수 있다.
* Array 모듈 사용 예시 |
import array a = array.array('i', [1, 2, 3]) 혹은 우리가 Python을 설치하면서 Numpy라는 라이브러리를 설치했는데. Numpy라이브러리에서 배열을 사용할 수 있다고한다. mport numpy as np a = np.array('i', [1,2,3]) |
■ 다차원배열
2차원 배열을 선언했다. print를 하면 배열 전체 내용을 출력해준다.
▼ 여러 가지 방법으로 출력해봤다.
선형대수 및 통계학 문제를 풀어보면서 파이썬과 넘파이로 구현해볼예정이므로 천천히 기초부터 잡으면서 간다는 생각으로 가야겠다 :)
'개발 (언어)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함수, (Im)mutable, 얕은 복사 (0) | 2023.04.25 |
---|---|
[Python] 조건문, 반복문, Range, Reversed (0) | 2023.04.22 |
[Python] Jupyter Notebook 테마 변경 (0) | 2023.04.22 |
[Python] Bool, 조건 연산자 (0) | 2023.04.22 |
[Python] Windows 머신러닝 개발 환경 세팅 (0) | 2023.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