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회계재무3

[회계재무Ⅱ] 특수 분야의 재무 관리 ■ 파생 상품 기초 자산 (주식, 채권, 외환 등)의 가격 변동에 따른 위험을 없애거나 줄이고자 생겨난 상품이다. (ex) 주식의 가격변동을 대상으로 주가지수선물이 있고 채권을 대상으로는 금리선물이 있고 외환에 대한 위험을 없애기 위해 통화선물[통화옵션, 선물환] 등이 있다. 종류는 크게 옵션, 선물 두 가지로 나뉜다 ■ 옵션 특정한 재산을 미리 정해진 기간 또는 그 이전에 약정된 가격으로 사거나(Call Option) 팔 수 있는(Put Option) 권리 (예) 삼성전자주를 5월 30일까지 10,000원에 살 수 있는 권리를 가졌다. (Call Option) 기본가가 12,000원일 때 나는 2천원의 이득을 본 것이다. [특징] 1. 약정된 가격[행사 가격]보다 원가가 떨어지면 굳이 옵션을 행사할 필.. 2023. 5. 1.
[회계재무Ⅰ-Ⅱ] 여러 계산법 및 현금흐름표 ■ 이익잉여금 이익잉여금은 여러 계산을 한 뒤에 얻을 수 있는 값이다. 먼저 '매출총이익(매출액 - 매출원가) - 판관비'를 구한다. 이는 영업이익[영업손익]이다. [용어 정리] * 영업이익[영업손익] : 기업 본연 활동으로부터 얻은 이익 (ex) 반도체 회사에서는 반도체를 팔아 얻은 이익이 된다. * 판관비 : 영업활동하면서 발생한 비용 (전기세, 수도세 등등) '영업이익 + 영업외손익 - 영업비용' 은 '법인세 차감 전 순이익'이다. 여기서 법인세를 빼면 당기순이익이나온다. [용어 정리] * 영업외손익 : 영업 외 활동하면서 발생한 수익 및 차익 (ex) 이자 수익 당기순이익은 (1) 배당 과 (2) 내부유보 형태로 나뉜다. 배당은 주주들에게 떨어지는 돈이고 나머지는 내부에서 사용가능한 금액으로 내부.. 2023. 5. 1.
[회계재무Ⅰ-Ⅰ] 재무제표 ■ 재무 상태표 자산 부채 및 자본의 구성 상태를 나타내는 표로 차변과 대변으로 구성되어있다. 예전에는 '대차대조표'로 불리었다. * 자산 = 부채 + 자본 ▼참고자료 (출처 : 사회투자지원재단) * 차변 = 자산 * 대변 = 부채와 자본 * 차변 합계와 대변 합계는 같다. [설명] 대변은 어디서 자금을 조달했는지 볼 수 있는 영역이다. 부채같은 경우 채권자가 권리를 같고 있기 때문에 '채권자지분'이라고도 한다. 자본은 주주가 소유하는 것이니 자기자본을 '소우쥬지분'이라고도 한다. ■ 손익 계산서 기업의 경영성과를 나타낸다. 일정 기간 동안 기업의 성과를 보여주는 표 ▼참고자료 (출처 : 사회투자지원재단) ■ 자본 변동표 말그대로 자본이 변동한 것을 나타내는 표이다. 위 예시들이랑 비슷하게 생겼다. 여기.. 2023. 5.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