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14 [Block_chain] Typescript 활용(4) - 인터페이스 [2022. 02. 06] 자바 스크립트에서는 인터페이스가 없다는데 상위 버전인 TypeScript에서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준다. ▼ 실행 정상 작동 그래서dist에 기록된 결과물인 app.js(javascript)를 보면 interface가 없다. 그래서 js에서 위 목적으로 주로 활용한다는게 class라고한다. ▼ constructor은 말 그대로 C# 생성자 역할이고 접근 지정자도 비슷하게 하는 것 같다. 감이 잡히니 조금씩 빨리 넘기면서 핵심 내용만 파악하면 될 것 같다. 2022. 2. 6. [Block_chain] Typescript 활용 (3) 및 생각 중간 정리 [2022. 02. 06] 함수 형태 (1) (2) (3) 아래와 같이 테스트하면 예상대로 정상작동한다. [TSC - Watch] ▼ watch설치 후 package.json 수정 tsConfig 및 package 수정 위와 같이 수저을 한다면 컴파일 시 src 폴더안의 ts파일들을 컴파일할 것이고 결과는 dist폴더에 기록될 것이다. 수정후 npm start를 다시 해주면 아래와 같이 작동한다. 결과 ▼ dist에 타입스크립트컴파일러(tsc)가 작업한 결과(js.map과 js파일)을 dist에 기록(생성)하였다. [과정] src 폴더 안에 있는 Typescript 파일을 tsc(타입스크립트 컴파일러)가 node.js가 해석할 수 있는 javascript파일로 변경할 때 dist폴더 안에 저장을 해주고 .. 2022. 2. 6. [Shader] 쉐이더를 처음으로 직접 작성해보다. [2021. 09. 01, Wed] 쉐이더를 공부 한지 하루 이틀 밖에 안되었다. 내 스스로 코드를 작성하는 것은 당연히 불가능한 것이기에 참고용으로 동영상을 보면서 공부했다. 참고 : https://www.youtube.com/watch?v=tRYxflC-HCc&list=TLPQMDEwOTIwMjG6Wd5TU0jTYw&index=2 강의에서 나오는 내용들을 적어 옮겨놨다. 생각이 안날때마다 다시 이걸 보면서 공부해야겠다. 불편했던점은 아마 쉐이더는 아마 C++이 변형된 상태 로 작성되나보다 좌측 상단에 보여지는 마크도 ++를 뜻하기도하고 일단 동영상처럼 자동 완성이 안된다 색깔도 구분이 안되어있고.. 아마 내가 비쥬얼 스튜디오에서 직접 설정을 바꿔야할 것 같은데 나중에 찾아보고 해결 해봐야겠다. 혹시라.. 2021. 9. 1. [Shader] Rendering Pipeline - 래스터라이저 & 프래그먼트 쉐이더 [2021. 09. 01, Wed] ■ 래스터라이저 : 버텍스 셰이더로부터 전달 받은 정점들에 삼각형을 구상하고 채워줘서 '프래그먼트 셰이더'로 전달하는 단계이다. * 프래그먼트 : 픽셀 후보 (두 개의 물체가 앞 뒤로 배치 되어있어 하나의 물체가 다른 물체를 가리게 된다면 최종 픽셀로서 사용되지 않을 수 있음) ▼ 영상 2:31초 참고 https://www.youtube.com/watch?v=RcRjIMTekgc 하는 일 1. 뷰포트 변환 : 클립공간(NDC) -> 스크린 공간 - 정규화된 공간에서 스크린(윈도우 화면)에 맞춘 공간으로 변형해준다. ( x,y축은 스크린 비율((예)1920X1080)에 맞게 크게 변환되지만 z값(깊이)은 0~1사이를 유지한다.) ( z값은 누가 앞에 그려지고 누가 뒤에 .. 2021. 9. 1. [Shader] Rendering Pipeline 공부 시작 [ 2021. 09. 01, Wed ] 매우 흥미로운 개념을 발견해서 공부일지를 이제 단계적으로 올릴려고한다. 참고자료 : https://www.youtube.com/watch?v=0XJWdNFnq50&list=RDCMUCRWq4MPqifkmT2GyL2d2ZAQ&index=3 최근에 쉐이더에 관심이 크게 생겼었다. 기술 면접을 보면서 렌더링 파이프라인에 관한 질문이 나온 적이 있는데 생소한 개념이라서 질문에 답을 못하였지만 호기심이 생겨서 찾아보게 되었다. 그래픽 관련된 개념이라는데 매우 재밌어보였고 공부 하고싶다는 생각이 들어서 면접 결과를 떠나 잘 보러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픽 부분을 코드로 제어해서 유니티로도 언리얼과 같은 그래픽을 낼 수 있다는 것이 매우 흥미로웠기에 꼭 공부를 해서 외.. 2021. 9. 1.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