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부환경분석
외부 환경은 위에 그림을 그린 것처럼 크게 두 가지를 나타낸다.
환경 | 특징 |
미시적 | 특정 기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
거시적 | 모든 기업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
■ 마이클포터의 5가지 경쟁요인 모델
산업구조분석이라고도 불린다. 특정 산업의 매력도를 측정할 때 쓰이는 척도이다. 즉 창업을 하거나 산업을 확장할 때
아래 기준을 토대로 진입해도 괜찮을지 말지를 측정할 수 있다.
(1) 대체재의 위협 : 대체품이 많을수록 수입률이 낮아질 것이다.
(2) 진입장벽 : 동종 업계에 진출하려는 회사가 많을수록 수입률이 낮아질 것이다.
(3) 공급자의 교섭력 : 공급자의 교섭력이 높을수록 수입률이 낮아질 것이다.
(ex) 공급자가 독점해있는 상태로 가격을 뻥튀기 한다든가, 갑질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체크하는 등
(4) 소비자의 교섭력 : 소비자의 교섭력이 높을수록 수입률이 낮아질 것이다.
(5) 산업내 경쟁 : 동종 업계 회사가 많으면 많을수록 수입률이 낮아질 것이다.
■ 핵심역량
전략의 목표로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확보 및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역량. 다른 기업과는 촤별화된 특유의 능력, 지식 및
기술 등등을 뜻한다.
* 핵심역량의 조건 |
(1) 고객에게 가치를 창출해줄 수 있어야 한다. |
(2) 다른 기업과는 다른 차별성을 갖고 있어야 한다. |
(3) 다양한 제품의 원천이여야 한다. => "어떤 특정한 제품을 잘 만든다"가 아니라, 그 제품을 만드는 '원천 기술'이 뛰어나야 한다. 그래야 그 기술을 갖고 다른 제품 또한 잘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
(4) 구체적인 능력이여야 한다. => "단순히 제품을 잘 만든다, 잘 판다"가 아니라, 어떤 종류의 제품 판매를 잘한다 혹은 어떤 경로를 통해 유통을 잘한다 등의 구체적으로 띄어난 능력이 있어야한다는 뜻임. |
■ VRIN 원칙
= V(Valuable), R(Rare), I(Inimitable), N(Nonsubstitutable)
즉, 핵심 역량은 가치있고, 드물고, 흉내낼수없고, 대체 할 수 없는 역량이여야한다.
■ VRIO 원칙
VRIN중 VRIN는 동일하나 N -> O(Organization) 즉, 역량이 있어도 그 역량을 잘 활용할 수 있는가? 잘 조직화 되어있는가를 뜻한다.
■ 핵심 역량 구축과 관리
시간이 오래걸리고, 꾸준히 조금씩 축적되는 학습의 과정이다. 즉 장기적이며 노력을 해야 얻는 역량이다.
즉, 관리 팀에 책임을 묻고 또 다른 관리자에게 맡길 시 자원 낭비를 초래한다.
'자격증 및 시험 > 매경테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영전략Ⅲ] 전략적 제휴, 본원적 경쟁전략 (0) | 2023.04.24 |
---|---|
[경영전략 Ⅱ] SWOT분석, BCG 매트릭스, 사업다각화 (0) | 2023.04.24 |
[경영일반 Ⅱ] 구조조정, 매슬로의 욕구, 하츠버그의 동기위생 (0) | 2023.04.21 |
[경영일반 1-2] 주식회사 3대 기관, 기업합동 (2) | 2023.04.19 |
[경영일반 1-1] 사기업의 종류 및 특징 (1) | 2023.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