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WOT 분석
어떠한 목적 달성을 위해 기업에서는 전략을 세워야한다. 이는 내부적 요인과 외부적 요인으로 나눠 분석하고 기업은 이를 통해 대응 전략을 수립한다. 이러한 분석은 각 요인들의 앞글자들을 따서 SWOT 분석이라고 명칭한다.
(1) 내부 요인
- 강점 (Strength)
- 단점 (Weakness)
(2) 외부 요인
- 기회 (Opportunity)
- 위협 (Threat)
[SWOT 분석의 전략]
종류 | 설명 |
SO 전략 | 내부 강점(S)을 이용해서 기회(O)를 포착하려는 전략 |
WO 전략 | 내부의 약점(W)을 어느 정도 보완하며 외부 기회(O)를 포착하자는 전략 |
ST 전략 | 내부의 강점(S)을 활용해 위협(T)을 피하자는 전략. (위협은 외부 요인이기 때문에 내부에서 제어하거나 없앨 수 가 없다.) |
WT 전략 | 약점(W)을 최소화하고 위협(T)을 피하려는 전략 |
■ BCG 매트릭스
미국의 보스턴 컨설팅 그룹(BCG)이 개발한 '전략평가기법'이다. 기업이 사업에 대한 전략을 결정할 때
(1) 상대적 시장 점유율과 (2) 사업의 성장률을 고려한다고 가정한다.
* 상대적 시장 점유율
: 해당 사업의 1등[지배적] 기업의 매출과 우리 사업의 매출액을 대비한 값.
* Star (성장률 High, 점유율 High)
: 많은 이익이 발생하고있고 많은 투자를 해서 집중적으로 관리해야하는 사업 단위
* Cash Cow (성장률 Low, 점유율 High)
: 많은 이익이 발생하고있지만 낮은 성장률 때문에 투자를 어느 정도 자제해야하는 사업 단위.
* Question Mark (성장률 High, 점유율 Low)
: 투자를 받아 Star로 갈지 아니면 Dog로 가기 전에 철수를 할지 결정을 해야하는 사업 단위.
* Success Sequence (이상적인 사업단위의 흐름)
: 만약 ?에서 투자를 집중해서 시장 점유율을 높여 Star가 되었을 때 많은 이익이 발생한다. 이후 장기적으로 운영하다가 자연스레 시장 성장률이 낮아져서 Cash Cow가 된다. 여기서 Dog가 될 가능성이 있고 많이들 그러지만 경영진은 새로운 사업으로 확장하거나 대책을 마련해 QuestionMark(?)로 돌아갈 수 있도록 노력해야한다.
■ 사업 다각화
기업이 단일 사업에만 집중 투자하며 한 분야에 전념하기 보다는 주 사업 이외의 다른 분야로 사업 범위를 확장시키는 경영전략을 의미한다.
종류 | 설명 |
관련 다각화 | 제품/지역 차원에서 관련된 사업에 집중하는 다각화. (ex) 자동차 기름을 생산하던 정유회사인 SK가 자동차 정비업종인 SK엔카로 진출하는 것. |
비관련 다각화 | 제품/지역 차원에서 서로 관련되지 않는 사업에 참여하는 방식의 다각화 (ex) 재벌 그룹이 조선업을 하다가 갑자기 금융업으로 사업 확장하는 것. |
수평 다각화 [수평 통합] |
같은 업종 내에서 여러 가지 상품을 생산하는 것 (ex) 트럭을 생산하던 기업이 승용차와 버스를 생산하기 시작했다. |
수직 다각화 [수직 통합] |
한 상품관련 두 개 이상의 공정을 한 기업이 담당하는 것. 이전에 범위의 경제를 공부할 때 배운 것이다. |
[수지적 다각화의 장단점]
(1) 장점
- 거래비용 절감
- 기술적 시너지가 있다.
- 안정된 수요와 공급
(2) 단점
- 사업리스크 상승
- 도덕적 해이가 발생할 수 있다.
(ex) 생산기업에서 어차피 부품회사의 부품을 사들이기 때문에 부품회사가 일을 조금씩 제대로 안하기 시작했다.
- 품질 개선 및 비용절감에 대한 동기 감소
■ 아웃소싱
기업 내에서 하지 않는 일을 외부 기업에 맡겨 일을 처리하는 것. 흔히 외주 맡긴다고 하는 것을 아웃소싱이라고함.
(예) NIKE에서 신발 생산은 외국에 아웃소싱을 하고 기업 내에서는 기획과 판매를 담당하고 있다.
[아웃소싱의 장단점]
(1) 장점
- 비용 절감
(ex) 작은 업체를 예로 들자면 장기적으로 월급을 주는 직원을 고용하고 양성하는 비용보다 단기적으로 외부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일을 완성하는 것이 비용 절감이 될 수 있다.
- 유연성 확보
(ex) 상품이 잘 팔리면 외주 업체에다가 이것 저것 추가로 덧붙여서 의뢰를 할 수 있고, 잘 안팔린다 싶으면 거래 관계를 끊을 수 있다.
(2) 단점
- 핵심역량의 축소 위험성. 외부에서 다해주기 때문에 외부 기업에 대한 의존성이 높아질수록 기업 내의 핵심 역량을 기를 수가 없음.
'자격증 및 시험 > 매경테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제경영] 해외 투자, 글로벌화와 현지화 (0) | 2023.04.25 |
---|---|
[경영전략Ⅲ] 전략적 제휴, 본원적 경쟁전략 (0) | 2023.04.24 |
[경영전략Ⅰ] 외부 환경, 산업구조분석, 핵심역량 (0) | 2023.04.21 |
[경영일반 Ⅱ] 구조조정, 매슬로의 욕구, 하츠버그의 동기위생 (0) | 2023.04.21 |
[경영일반 1-2] 주식회사 3대 기관, 기업합동 (2) | 2023.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