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 및 시험/매경테스트

[국제경영] 해외 투자, 글로벌화와 현지화

by 진현개발일기 2023. 4. 25.

■ 해외투자

 해외 투자는 크게 직접 투자와 간접 투자로 나뉜다.

 

(1) 해외직접투자 (FDI)

 공장을 직접 세우는 등 직접 해외 경영에 참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자본, 경영 능력, 기술, 상표 등의 생산 요소를 복합적으로 해외 이전시키는 기업 활동이다.

 

(2) 해외간접투자 

  직접투자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주식, 채권 및 투자로 차익을 목적으로 하는 투자이다.

■ 글로벌화

  국경에 의한 시장의 경계가 무너지면서 세계를 하나의 시장으로 수렴해가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촉진시키는 요인들이 있다.

 

[글로벌화 촉진 요인]

(1) 글로벌화를 통해서도 규모의 경제형성할 수 있다.

(2) 소비자 수요의 동질화. 즉, 표준화된 제품일수록 유리하다

     (ex) 일상품, 맥도날드, 스타벅스 등등

 

(3) 무역장벽이 매우 낮아졌기 때문에 글로벌화를 추진하기 덜 어려워졌다. 

(4) 인터넷을 통한 정보 협력이 가능하다.

■ 현지화

 단순히 생산 분야의 협조나 융화만으로 이루어 지는 것이 아니라 지역사회와의 정보 공유나 문화 교류를 통해 해당 지역의 특성에 맞게 상품을 판매하는 것. 이를 촉진시키는 요인들이 있다.

 

[현지화 촉진 요인]

(1) 환율 변동에 대한 리스크가 감소된다.

(2) 보호무역 주의에 대한 대비가 가능해진다.

(3) 문화의 차이를 극복할 수 있게된다.

(4) 이질적인 유통 경로를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외국 가서 직접 팔게되면 우리나라와 다른 유통 경로를 수용할 수 있게 된다는 뜻임)

 

(5) 정치적 위험

 

 * 결론은 글로벌화, 현지화 모두 상반되는 목표가 있다. 하지만, 이 두 가지를 적절하게 조화시킬 필요가 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