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외투자
해외 투자는 크게 직접 투자와 간접 투자로 나뉜다.
(1) 해외직접투자 (FDI)
공장을 직접 세우는 등 직접 해외 경영에 참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자본, 경영 능력, 기술, 상표 등의 생산 요소를 복합적으로 해외 이전시키는 기업 활동이다.
(2) 해외간접투자
직접투자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주식, 채권 및 투자로 차익을 목적으로 하는 투자이다.
■ 글로벌화
국경에 의한 시장의 경계가 무너지면서 세계를 하나의 시장으로 수렴해가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촉진시키는 요인들이 있다.
[글로벌화 촉진 요인]
(1) 글로벌화를 통해서도 규모의 경제를 형성할 수 있다.
(2) 소비자 수요의 동질화. 즉, 표준화된 제품일수록 유리하다
(ex) 일상품, 맥도날드, 스타벅스 등등
(3) 무역장벽이 매우 낮아졌기 때문에 글로벌화를 추진하기 덜 어려워졌다.
(4) 인터넷을 통한 정보 협력이 가능하다.
■ 현지화
단순히 생산 분야의 협조나 융화만으로 이루어 지는 것이 아니라 지역사회와의 정보 공유나 문화 교류를 통해 해당 지역의 특성에 맞게 상품을 판매하는 것. 이를 촉진시키는 요인들이 있다.
[현지화 촉진 요인]
(1) 환율 변동에 대한 리스크가 감소된다.
(2) 보호무역 주의에 대한 대비가 가능해진다.
(3) 문화의 차이를 극복할 수 있게된다.
(4) 이질적인 유통 경로를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외국 가서 직접 팔게되면 우리나라와 다른 유통 경로를 수용할 수 있게 된다는 뜻임)
(5) 정치적 위험
* 결론은 글로벌화, 현지화 모두 상반되는 목표가 있다. 하지만, 이 두 가지를 적절하게 조화시킬 필요가 있다.
'자격증 및 시험 > 매경테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케팅Ⅱ] 시장 세분화, 표적 시장 선정, 가격 전략, 촉진 (0) | 2023.04.28 |
---|---|
[마케팅Ⅰ] 생애 가치, STP전략, 관여도 (2) | 2023.04.27 |
[경영전략Ⅲ] 전략적 제휴, 본원적 경쟁전략 (0) | 2023.04.24 |
[경영전략 Ⅱ] SWOT분석, BCG 매트릭스, 사업다각화 (0) | 2023.04.24 |
[경영전략Ⅰ] 외부 환경, 산업구조분석, 핵심역량 (0) | 2023.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