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인기업
보통 우리가 흔히 알고있는 자영업이 이에 속하게 된다.
■ 공동기업
종류 | 특징 |
합명회사 | 2명 이상의 사원이 공동으로 출자하였고 무한책임을 지닌다. 그러므로 모두 직접경영에 참여한다. |
* 출자란? : 합자회사를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고유의 재산을 구성할 금전과 그 밖의 재산 등을 제공하는 것. |
|
합자회사 | 무한책임 사원과 유한책임 사원으로 구성되어있다. 무한 책임 사원이 경영을 하고 유한 책임 사원이 자본을 제공하며 사업으로부터 생기는 이익의 분배에 참여하는 회사다. 합명과 마찬가지로 보통 친한 사람들이 공동으로 사업하는데 적합한 형태이다. |
주식회사 | (1) 유한 책임제도 투자한 회사가 망하면 참여한 사람은 오직 투자한 금액만 손실을 본다. (2) 자본의 증권화 자본을 조달해주는 주식이 증권화과 되어서, 즉 주식이라는 증권이 발행 후 매매 및 양도가 자유로워지고나서, 전국에 많은 투자자들에게 팔 수가 있게 되었고 소액으로도 거래가 가능하여 많은 사람들이 투자를 하다보니 대규모 자금을 조달할 수 있게되었다. 그로 인하여 대규모 투자가 가능해지고 오늘날 경제발전을 이루는 원동력이 된다. (3) 소유 경영의 분리 자본의 증권화로 기업의 규모가 커지면서 소유 경영자가 감당하기 어려워지자, 전문 경영인을 고용하여 경영을 맡기고 본인은 소유 경영자로 남을 수가 있다. 즉, 소유자는 주주가되고 전문인이 경영자가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생길 수 있는 문제는 대리(인)갈등이다. 갈등의 원인은 보통 소유자와 전문 경영인의 이해상충이 된다. |
* 대리갈등 [대리인갈등] 기업의 주체는 주주이나, 전문경영인이 경영 실권을 전문 지식과 함께 갖고있는 지배적 경영자이기 때문에 갈등이 생긴다. 이로인해 생기는 문제를 대리갈등이라고 부르고 이에 들어가는 비용을 '대리비용' 이라고한다. |
■ 경영자의 능력
경영자는 크게 세 가지로 분류된다.
(1) 최고경영자
(2) 중간 관리자
(3) 일선경영자
등이 있다.
종류 | 필요 능력 |
최고 경영자 | 상황 판단 능력, 대인 관계 능력 |
중간 관리자 | 대인 관계능력, 현장 실무 능력 |
일선 경영자 | 현장 실무 능력, 대인 관계 능력 |
* 공통적으로 대인관계능력을 필요로한다. |
728x90
'자격증 및 시험 > 매경테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영일반 Ⅱ] 구조조정, 매슬로의 욕구, 하츠버그의 동기위생 (0) | 2023.04.21 |
---|---|
[경영일반 1-2] 주식회사 3대 기관, 기업합동 (2) | 2023.04.19 |
[거시경제 2-2] 국제 금융 이론 (0) | 2023.04.18 |
[거시경제 2-1] 인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 실업률 (0) | 2023.04.18 |
[거시경제 1-2] 경기 안정화 정책 (0) | 2023.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