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 및 시험/매경테스트

[거시경제 2-1] 인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 실업률

by 진현개발일기 2023. 4. 18.

■ 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Inflation)은 지속적인 물가 상승을 뜻한다. 주로 통화량 팽창과 관계가 있다. 이에 따른 영향으로 크게

네 가지의 현상이 발생한다.

 

현상 설명
구두창 비용 인플레이션 상황에서 화폐를 덜 보유하기 위해 드는 비용.

 위 개념만 봐서는 이해가 안된다. 예시를 토대로 설명을 이해하면 된다.

(★예시)

 100원에 살 수 있었던 시계가 인플레이션으로 인하여 120원이 되었다. 이런 상황이 왔을 때 현금을 100원을 가지고 있었던 사람보다 시계를 갖고있었던 사람이 더 큰 이득을 보게 된 것이다.

 즉, 현금을 보유하기보다는 실물 자산이나 금융상품을 갖고있는 사람이 더 큰 이득을 보게되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사람들은 100원이라는 재화를 에금하지않고 시계를 구매해놓고 현금은 조금만 보유한채 생활하기 시작한다. 필요한 상황이 온다면 그때마다 은행에 들려 예금 및 출금을 하고 100원의 시계보다 더 값어치가 클 것 같은 투자처를 찾기 위해 발품을 판다. 발품을 팔때마다 그리고 은행에  들낙거릴때마다 구두창의 밑창이 빨리 닳는 것은 물론 시간 역시 소모되기 때문에 

 이러한 비용을 '구두창 비용'이라고 한다.
메뉴 비용 인플레이션으로 물가가 상승하였을 때 표시해놓은 가격을 수정 함으로서 발생하는 비용

(★예시)

 A 치킨집의 가격이 만 원이였으나, 원재료값 상승으로 만 이천원으로 변동이 발생했다. 
이제 메뉴판과 홈페이지에 게시 해놓은 치킨 값을 수정해야한다. 이때 들어가는 비용이 
'메뉴 비용'이다.
부와 소득의 재분배 (예시1)
 인플레이션을 통해 물가가 오르면 상대적으로 화폐 가치하락한다. 그로 인하여 화폐가 아닌 실물 자산을 갖고있는 사람들은 더 큰 이득을 취하고 월급을 받으며 예금하던 사람들은 손해를 보게 된다. 

(예시2)
 A가 B에게 100만원을 빌렸다면 화폐 가치가 하락하였으나 갚아야할 돈은 100만원 그대로이기 때문에 채권자인 B는 손해를 보고 채무자인 A가 손익을 보는 상황이 발생한다.
인플레이션 조세 통화량이 늘어나 화폐 가치가 하락하여 조세를 증가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세금을 더 낸듯한 현상을 뜻한다.

(예시)
 정부가 작년 대비 동일한 자금으로 새로운 사업을 하거나 공무원 임금을 올려줘야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이에 해결 방안은 조세를 증가하여 세금을 더 걷는 방법도 있고 화폐를 더 많이 찍는 방법도 있다. 

 세금을 걷지 않고 화폐를 더 찍어냈을 때 세금을 걷지도 않았지만 화폐 가치가 하락하여 동일한 금액으로 있었던 내 통장의 잔고의 가치가 하락하였다. 즉, 세금을 걷지도 않았는데 세금을 낸 것과 다름없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을 '인플레이션 조세'라고 한다.

  이와 반대되는 현상은 '디플레이션'이다.

 

■ 스태그플레이션

 침체(Stagnation) + 폭등(Inflation)의 합성어로 경제가 침체되고있음에도 불구하고 물가는 지속적으로 상승하고있는 상태를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이라고 일컫는다. 최악의 상황인 것이다.

보통은 물가가 상승하면 경기가 약간은 좋아져야한다.

 

스태그플레이션 상태의 공급곡선 이동

 

 

▼ 보통 물가 상승 시 그래프 변화

수요 곡선이 이동한다 혹은 물가 하락시 반대로 수요 감소로 수요곡선이 좌로 이동한다.

스태그 플레이션 그래프와 위 그래프의 차이는 '공급곡선의 이동'이다.

 

공급 곡선 이동의 대표적인 원인으로는

1. 원자재 가격상승

2. 생산성하락

3. 구조조정 등의 여러가지 원인이 될 수 있다.

 

 

■ 생산 가능 인구

 생산 가능 인구란 16~65세 사이의 노동력 제공이 가능한 사람들을 뜻한다. 여기서 그 외 나이에 해당되거나 환경으로 생산이 불가능한 인구(예로 수감자, 군인, 병원 장기입원 환자 등)는 미포함된다.

 

 생산 가능 인구는 아래 총 두 가지의 종류로 분류된다.

 

 (1) 경제활동인구

       => 취업자, 실업자

 

 (2) 비경제활동인구

       => 주부, 학생, 실망실업자 등

 

*실망실업자란?
실업자 중에서 구직활동을 포기한 실업자.

그와 반대로 경제활동 인구의 실업자는 취업을 희망하나 아직 취업을 못한 상태의 실업자를 뜻한다.

위 종류로 나뉘기 때문에 

한 나라의 실업률을 계산하려면 아래 공식을 따라야 한다

*실업률 계산 공식
실업률 = 실업자 / 경제활동인구

 그러면 실업률을 최소화해서 생산률을 증대하고 경제를 회복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먼저 실업률의 원인을

파악해야한다. 총 네가지의 실업 종류가 있다.

 

종류 설명
마찰적 실업 잠시동안이지만 이직을 하기위해 발생하는 실업

[해결방안]
정부에서 직업에 대한 정보를 많이 제공해주는 등의 서포트를 하거나 자발적 실업을 방지하기 위한 실업급여 관련 제도를 개선하는 방안
구조적 실업 산업의 구조가 변하여 발생하는 실업 

 (예) 컴퓨터, 스마트폰 등의 탄생으로 아날로그식으로 달력을 만들던 공장의 종사자들에 대한 인원 감축.
         또 다른 예로는 최근에 로봇으로 생산 공장 인원들이 대체되고 감축되고있는 현상.

[해결방안]
발전하는 산업의 구조에 맞춰 직업 교육을 제공해준다.
경기적 실업 경기가 안좋아지면서 발생하는 실업
계절적 실업 계절에 따라 발생하는 실업

(예)
겨울에 건설현장의 일감이 많이 없어지는 것. 그리고 대학교 졸업 시즌이 되자 많은 대학생들이 졸업 후에 학생 신분에서 벗어나 실업자가되는 것.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