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 및 시험/매경테스트

[3-2] 시장의 형태

by 진현개발일기 2023. 4. 11.

완전 경쟁 시장 (이상적인 시장)

  [특징] 

     (1) 다수의 판매자와 구매자가 있을 떄 가격 수용자(Price Taker)가 발생한다.

 

            * 가격 수용자(Price Taker)

               :  시장에서 결정된 가격으로 판매하거나 구입할 수 밖에 없는 사람. 예로 주식이 있다.

 

     (2) 상품 동질성

     (3) 자유로운 진입 및 퇴거 가능

 

=> 완전 경쟁시장의 예로는 주식 시장, 농수산물 시장 등이 있다. 

과점 시장

몇 개의 기업이 시장을 선점하여 경쟁하는 시장.

 

  [특징] 

     (1) 담합을 해서 독점 시장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공정거래위원회가 존재하지만 일일이 다 관리할 수 가 없기 때문에 '리니언시 제도'가 존재한다.

 

            * 리니언시 제도(Leniency)

               :  자진신고감면제도라 일컫는다. 공정위원회의 조사가 개시 되기 전 자진신고를 하거나 조사 개시 이후에 협조하는 경우 시정조치나 과징금 등의 제재의 수준을 낮추거나 면제해주는 제도.

 

     (2) 기업 간의 상호의존성이 존재한다.

          (예) 삼성 TV쪽에서 가격을 내리면 LG TV쪽에서도 경쟁을 위해 가격을 내리기 시작하는 현상이 예가 될 수 있다.

 

     (3) 가격 경쟁보다는 비가격 경쟁이 주로 발생한다.

          (예) 가격 외에 '광고'나 '추첨' 등의 이벤트가 비가격 경쟁의 예가 된다.

 

위 특징들로 인하여 과점 시장의 진입 장벽이 높다라는 것을 알 수 있다.

=> 과점 시장의 예로는 통신 시장, 전자 시장 등이 있다.

독점적 경쟁시장

완전 경쟁과 독점 시장의 중간적 시장 형태이다. 독점적 경쟁시장에서 단기에는 기업들이 독점과 같이 행동할 수 있으나, 장기에는 다른 기업들이 시장에 진입 해오기 때문에 점점 완전 경쟁의 형태에 가까워져 독점적인 자유를 누릴 수 없게 된다.

 

  [특징] 

     (1) 약간의 제품 차별화

           (예) 시내에 라면집이 두 개가 있다고 가정 했을 때 A라는 곳에서는 매운 라면을 끓이고 B 가게에서는 덜 맵게 끓이는 대신 파를 많이 넣어주는 것이 제품 차별화가 될 수 있다.

 

     (2) 비가격 경쟁이 존재한다.

           (예) 카페에서 가격을 깎기보다는 쿠폰을 제공해서 경쟁하는 것 또한 비가격 경쟁이다.

 

독점 시장

이름 그대로 하나의 판매자가 독점하는 시장을 뜻한다.

예로는 철도, 전력 시장 등이 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