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 및 시험/매경테스트26

[경영전략Ⅰ] 외부 환경, 산업구조분석, 핵심역량 ■ 외부환경분석 외부 환경은 위에 그림을 그린 것처럼 크게 두 가지를 나타낸다. 환경 특징 미시적 특정 기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거시적 모든 기업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 마이클포터의 5가지 경쟁요인 모델 산업구조분석이라고도 불린다. 특정 산업의 매력도를 측정할 때 쓰이는 척도이다. 즉 창업을 하거나 산업을 확장할 때 아래 기준을 토대로 진입해도 괜찮을지 말지를 측정할 수 있다. (1) 대체재의 위협 : 대체품이 많을수록 수입률이 낮아질 것이다. (2) 진입장벽 : 동종 업계에 진출하려는 회사가 많을수록 수입률이 낮아질 것이다. (3) 공급자의 교섭력 : 공급자의 교섭력이 높을수록 수입률이 낮아질 것이다. (ex) 공급자가 독점해있는 상태로 가격을 뻥튀기 한다든가, 갑질을 할 수 있는 가.. 2023. 4. 21.
[경영일반 Ⅱ] 구조조정, 매슬로의 욕구, 하츠버그의 동기위생 ■ 주요 구조조정 기법 * 사업구조조정은 부서를 통폐합시키거나 지점을 폐쇄한다거나 등등 우리가 흔히 알고있는 구조조정이다. * 재무구조조정은 출자전환(기업부채를 주식으로 전환)을 한다거나 채권을 주식으로 바꾸는 등의 내용이다. ■ 사적정리 (Workout) 기업개선작업이라고 불리며 영어로는 Workout이라고도 불린다. [특징] 1. 경영자, 주주, 채권자가 서로 협의를 본다. 관리인은 기존 경영자로 그대로 냅둔다. 이때 구조조정의 주체는 채권단이다. 2. 채권자 권리 유보(Reservation of Rights) -> 금융채무가 동결된다. 3. 결과가 좋은 경우 회생을 하겠지만 잘 안될 경우 법적정리로 이어진다. ■ 법적정리 (Legal Restructuring) 법원이 주체가 되어 기업의 회생 혹은 .. 2023. 4. 21.
[경영일반 1-2] 주식회사 3대 기관, 기업합동 ■ 주식회사 3대 기관 기관 설명 주주 총회 회사의 주주들이 회사의 경영과 관련된 중요한 결정에 참여하고, 읫소통을 하며 자신들의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공식적인 행사. [존재 이유] 주주들의 회사 경영에 대한 의사 결정 참여 권리를 보장해주고 경영진들과 서로 질문하고 회사의 미래를 논함으로서 회사의 성과 및 계획을 얘기할 수 있다. 의사결정 참여에는 1. 이사회 선출 2. 회계 감사인 선임 3. 배당 정책 4. 회사의 합병 및 인수 등의 주요 결정이 포함된다. 이사회 이사들의 모임을 가리키며 주주 총회를 거쳐 이사를 등기 및 선임한 후 구성된다. [존재 이유] '대리 문제에 대한 대책'을 위해서다. 즉, 경영자가 자신의 이익만을 위해서 의사 결정 할 수 없도록 방지해준다. 역할은 경영진의 감독과 견제다.. 2023. 4. 19.
[경영일반 1-1] 사기업의 종류 및 특징 ■ 개인기업 보통 우리가 흔히 알고있는 자영업이 이에 속하게 된다. ■ 공동기업 종류 특징 합명회사 2명 이상의 사원이 공동으로 출자하였고 무한책임을 지닌다. 그러므로 모두 직접경영에 참여한다. * 출자란? : 합자회사를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고유의 재산을 구성할 금전과 그 밖의 재산 등을 제공하는 것. 합자회사 무한책임 사원과 유한책임 사원으로 구성되어있다. 무한 책임 사원이 경영을 하고 유한 책임 사원이 자본을 제공하며 사업으로부터 생기는 이익의 분배에 참여하는 회사다. 합명과 마찬가지로 보통 친한 사람들이 공동으로 사업하는데 적합한 형태이다. 주식회사 (1) 유한 책임제도 투자한 회사가 망하면 참여한 사람은 오직 투자한 금액만 손실을 본다. (2) 자본의 증권화 자본을 조달해주는 주식이 증권화과 되.. 2023. 4. 19.
[거시경제 2-2] 국제 금융 이론 ■ 환율 외국화폐와 국내화폐의 교환 비율. 혹은 외화의 가격을 표현 *표시방법 보통 '자국 통화 표시법'으로 환율을 표시한다. 우리나라를 예로 하면 '원/달러(₩/$)' 가 자국통화표시법 이다. 아래 자세한 설명이있다. https://eiec.kdi.re.kr/material/conceptList.do?depth01=00002000010000100012&idx=159 경제개념 | KDI 경제정보센터 다양하고 차별화된 경제교육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eiec.kdi.re.kr 자국통화표시환율은 '1달러=1000원' 즉 외국 통화 1단위와 교환되는 자국 통화의 양으로 표시한다. 라는 것이다. 반대로 외국통화표시환율은 '1원=0.001달러'와 같이 자국 통화 1단위와 교환되는 외국 통화의 양으로 표시한다. *변.. 2023. 4. 18.
[거시경제 2-1] 인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 실업률 ■ 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Inflation)은 지속적인 물가 상승을 뜻한다. 주로 통화량 팽창과 관계가 있다. 이에 따른 영향으로 크게 네 가지의 현상이 발생한다. 현상 설명 구두창 비용 인플레이션 상황에서 화폐를 덜 보유하기 위해 드는 비용. 위 개념만 봐서는 이해가 안된다. 예시를 토대로 설명을 이해하면 된다. (★예시) 100원에 살 수 있었던 시계가 인플레이션으로 인하여 120원이 되었다. 이런 상황이 왔을 때 현금을 100원을 가지고 있었던 사람보다 시계를 갖고있었던 사람이 더 큰 이득을 보게 된 것이다. 즉, 현금을 보유하기보다는 실물 자산이나 금융상품을 갖고있는 사람이 더 큰 이득을 보게되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사람들은 100원이라는 재화를 에금하지않고 시계를 구매해놓고 현금은 조금만 보.. 2023. 4. 18.
[거시경제 1-2] 경기 안정화 정책 ■ 자동 경제 안정화 정책 어떤 정책을 만들어놓으면 자동적으로 경제가 안정화되는 정책 (ex) 누진세, 실업급여 예시로 누진세 같은 경우 (1) 경제가 좋아졌을 때 = 국민 소득이 증가(↑) 함으로써 소비도 증가하여 경제가 과열될 때 조세 증가(세금↑)를 통해 경기를 진정시킨다. (2) 경제가 침체되었을 때 = 국민 소득이 증가(↓) 함으로써 소비도 하락하여 경제가 안좋아질 때 조세 감소(세금↓)를 통해 경기를 진작시킨다. ■ 경기 안정화 정책 경기 변동의 진폭을 작게 함으로서 국민 경제의 지속적이고 안정화된 성장을 이루기 위한 일련의 정부정책. 위에 딱딱한 개념은 대충 이해하고 간단히 말해서 '경제가 너무 과열'되면 '진정'시키고 '경제가 너무 침착'되면 '진작'시킴으로서 경제를 밸런스있게 성장시키는 .. 2023. 4. 18.
[거시경제 1-1] 총생산 및 삼면등가의 법칙 ■ GDP 국내 총생산(Gross Domestic Product)은 한 나라 안에서 일정 기간동안 생산된 최종 시장 가치의 합이다. 주체가 국민이든 외국인이든 상관 없이 그 해에 발생한 가치는 모두 해당 국가의 GDP에 포함된다. 시장 가치의 합이기 때문에, 세금을 내지 않고 거래되는, 지하경제(과외, 마약, 불법 거래 등등)는 이에 포함되지 않는다. (ex) 중고차 시장에서 3년 전에 생산된 자동차가 팔렸다. 이런 경우에는 GDP에 포함되지 않는다. 다만 그로 인해 발생한 중개수수료는 GDP에 포함된다. ■ GNP 국민 총생산(Gross National Product)은 지역 상관 없이 해당 국가의 국민이 벌어들이는 총 가치이다. (ex) 류현진이 미국에서 수백만 달러의 수입을 발생시켰을 때 이는 GN.. 2023. 4. 18.
[3-3] 가격 차별 및 세금 ■ 독점의 가격차별 같은 상품을 갖고 다른 가격을 매겨 판매하는 것. [특징] (1) 소비자의 특성에 따라 소비자 집단이 2개 이상으로 나뉘어져야 가능하다. 이때 나뉘는 기준은 '수요의 가격탄력도'이다. (참고) https://yjhdevelopdiary.tistory.com/75 [1-3] 수요와 공급의 탄력성 ■ 수요의 가격 탄력성 (1) 공식 = 수요량의 변화율 / 가격의 변화율 (ex) 수요량 20% 감소하고 가격이 10% 증가하였을 때 20/10 => 재화의 탄력성(e)은 2이다. (2) 비교 a. e > 1 : '사치재'라고 불린다. 수요 yjhdevelopdiary.tistory.com (예) 핸드폰 통신요금을 대학생에게는 할인을 해주고 직장인 같은 경우에는 정가로 지급한다. 근거는 대학생 .. 2023. 4. 11.